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송전선로 보호방식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송전선로는 고장 발생 시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보호계전기를 활용하여 신속히 차단하고 자동재폐로를 수행합니다. 154kV, 345kV, 765kV 송전선로 보호방식과 자동재폐로 시스템을 한눈에 정리해보겠습니다.

 

송전선로보호방식
송전선로보호방식

 


1. 154kV 송전선로 보호방식

 

송전선로 보호방식

 

 

154kV 송전선로는 전류차동방식을 주 보호방식으로 적용하며, 거리계전방식을 후비 보호로 활용합니다.

① 보호방식 및 자동재폐로 적용

전송로 유형주 보호방식후비 보호방식자동재폐로 회수
가공 송전선로 (지중 포함) 전류차동방식(87) 3단계 거리계전방식(21) 3상 1회 (지중 30% 미만)
단거리 송전선로 전류차동방식(87, 2계열) 3단계 거리계전방식(21) 3상 1회

 특징:

  • 주 보호: 전류차동방식(87) 적용하여 양단 전류를 비교해 고장 검출
  • 후비 보호: 3단계 거리계전방식(21)으로 고장 위치에 따라 차단 순서 결정
  • 자동재폐로: 3상 1회 적용

 관련 사이트:


2. 345kV 송전선로 보호방식

 

송전선로 보호방식
송전선로 이미지

 

345kV 송전선로는 제1계열과 제2계열로 보호가 구성되며, 각각 전류차동방식을 적용합니다.

① 보호 계열 및 방식

계열주 보호방식전송로후비 보호방식자동재폐로
제1계열 전류차동방식(87) 3단계 한시 거리계전방식(21) 1상, 1+3상 (1회) 복합선로는 미적용
제2계열 전류차동방식(87) 3단계 한시 거리계전방식(21) 미적용

 특징:

  • 제1계열과 제2계열 모두 전류차동방식(87) 적용
  • 후비 보호: 거리계전방식(21)으로 고장 위치에 따라 보호계전기가 작동
  • 자동재폐로: 1상 및 1+3상 재폐로 수행

 관련 사이트:


3. 765kV 송전선로 보호방식

765kV 송전선로는 초고압 장거리 송전에 활용되며, 고장 검출 및 차단 속도를 더욱 강화한 보호 시스템이 적용됩니다.

① 보호방식 및 자동재폐로 적용

보호 계열주 보호방식후비 보호방식자동재폐로
제1계열 전류차동방식(87) 3단계 한시 거리계전방식(21) 1상 1회, 3상 1회
제2계열 전류차동방식(87, 2계열) 3단계 한시 거리계전방식(21) 1상 1회, 3상 1회

 특징:

  • PCM(Pulse Coded Modulation) 기반 전류차동방식(87) 적용
  • 고속 보호기능 및 2계열 보호로 이중화
  • 자동재폐로(79) 수행 조건 강화

 관련 사이트:


4. 송전전로 주 보호방식 (87) - PCM 전류차동방식

① PCM(Pulse Coded Modulation) 전류차동방식 (87) 개요

  • 양단의 전류를 PCM 신호로 변환하여 광전송로를 통해 송수신
  • 변압기 보호에 적용하는 차동방식과 동일한 원리
  • 고장 발생 시 고장 전류의 차이를 검출하여 신속한 차단 수행

5. 자동재폐로(79) 및 동기검정

① 자동재폐로(79) 개념

  • 자동재폐로 시 서로 다른 양전원(전력 공급원)을 병입할 경우, 동기조건을 만족해야 함
  • 동기 조건 검토 후 재폐로 실시

② 동기 조건

조건154kV 기준345kV 기준765kV 기준
위상차 25° 이내 30° 이내 30° 이내
전압 정격전압 80% 이상 정격전압 80% 이상 정격전압 85% 이상
전압차 10% 이내 10% 이내 8% 이내

관련 사이트:


마무리

오늘은 154kV, 345kV, 765kV 송전선로 보호방식과 자동재폐로(79) 시스템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PCM 기반 전류차동방식(87)과 거리계전방식(21)의 역할, 그리고 자동재폐로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