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1. 상속세 공제 한도 대폭 확대
정부는 2028년부터 상속세 구조를 개편하며 공제 한도를 기존 5천만 원에서 5억 원으로 대폭 상향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국민들의 상속세 부담을 완화하고, 상속 과정에서의 재정적 부담을 줄이기 위한 조치입니다.
2. 유산취득세 도입, 세금 부과 방식 변화
현재 상속세는 전체 유산 금액을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하지만, 개편 후에는 각자가 실제 상속받은 유산에 대해서만 세금이 부과되는 유산취득세 방식으로 전환됩니다.
구분기존 방식개편 후 방식
세금 부과 기준 | 전체 상속 재산 기준 | 개별 상속받은 금액 기준 |
예시 (10억 원 상속, 5명) | 10억 원 기준 세금 부과 | 각자 2억 원 기준 세금 부과 |
예상 부담 | 상대적으로 높음 | 개별 부담 감소 |
이로 인해 개별 상속자의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세부적인 공제 변화
개편 후 공제 항목
공제 항목기존개편 후
자녀 공제 한도 | 5천만 원 | 5억 원 |
배우자 공제 한도 | 최대 8.6억 원 | 최대 10억 원 |
기초공제 | 2억 원 | 폐지 |
일괄공제 | 5억 원 | 폐지 |
4. 예시: 개편 후 상속세 계산 비교
- 현재 방식(개편 전)
- 20억 원을 배우자와 자녀 2명이 나눠 상속
- 공제 후 과세 대상 금액: 6.4억 원
- 총 상속세: 1.32억 원
- 개편 후 방식
- 배우자 10억 원 공제, 자녀 각각 5억 원 공제
- 공제 후 과세 대상 금액: 0원 → 상속세 없음
5. 상속세 계산기 사용하기
상속세 부담이 얼마나 줄어드는지 직접 확인하고 싶다면, 국세청 상속세 계산기를 활용해보세요.
👉 국세청 상속세 계산기: www.nts.go.kr
이번 개편안이 통과되면 상속세 부담이 대폭 줄어들 것으로 보이지만, 야당에서는 세수 감소 문제를 이유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