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미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무 전봇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 글을 읽으면 미국이 첨단국가임에도 나무 전봇대를 고수하는 이유를 비용, 지형, 정책 측면에서 한 번에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한국과는 다른 인프라 철학을 알고 싶다면 꼭 읽어보세요.


    1. 설치와 유지비가 저렴한 나무 전봇대

     

    미국 나무 전봇대
    미국 나무 전봇대

     

    미국은 땅이 넓고 인프라를 깔아야 할 지역이 방대합니다.
    이 때문에 초기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가볍게 운송 가능한 나무 전봇대가 여전히 선호됩니다.
    콘크리트나 철제 전봇대는 무겁고 비용이 높으며, 시공 시 전문 인력이 필요하지만, 나무 전봇대는 톱과 장비만 있으면 설치가 가능합니다.

    또한, 나무 전봇대는 40~50년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방부 처리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도 유지보수 비용이 낮은 편입니다.


    2. 땅이 넓고 지하 매설이 비효율적인 구조

     

    미국 나무 전봇대
    미국 나무 전봇대

     

    한국은 도시 밀집형이고, 인프라가 고밀도로 구성돼 있어 지중화(전선 매립)가 효과적입니다.
    반면 미국은 넓은 교외 지역과 시골이 많아, 땅을 파고 케이블을 묻는 데 드는 비용과 시간이 막대합니다.

    특히 서부나 남부 주처럼 고온·건조하거나 사막이 많은 곳은 지하에 열과 수분 관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여전히 지상 전봇대가 유리합니다.
    또한, 자연재해 후 복구 시에도 전봇대가 지상에 있으면 접근이 쉬워 교체 및 수리가 빠릅니다.


    3. 규제와 법적 관성: 바꾸기 힘든 시스템

     

    미국 나무 전봇대
    미국 나무 전봇대

     

    미국의 전력망은 대부분 민간 전력회사 소유입니다.
    이들은 전봇대 설치에 대한 결정권을 갖고 있으며, 각 도시나 주의 규제와 예산에 따라 정책이 다릅니다.

    지중화하려면 도로나 보도 공사, 주민 협의, 인허가 등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고, 이미 설치된 수백만 개의 나무 전봇대를 교체하는 건 막대한 예산과 시간이 필요한 일입니다.
    결국 “쓸 수 있는 나무 전봇대가 있는데 굳이 교체할 이유가 없다”는 판단이 많아 여전히 나무 전봇대가 유지되고 있는 것이죠.


    오늘의 정리 및 다음 예고

    오늘은 미국이 아직도 나무 전봇대를 사용하는 이유를 살펴봤습니다.
    비용 효율성, 지형 특성, 민간 주도의 인프라 정책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이해하면 훨씬 명확합니다.
    다음 시간에는 미국과 한국의 전력망 구조 차이, 정전 대처 방식의 차이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반응형